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추상클래스
- object
- methodArea
- Hashtable
- 콘크리트클래스
- 객체형변환
- fuction
- abstractclass
- ALTER
- Vector
- overload
- class
- constantnumber
- eclipse
- MSA
- start()
- run()
- override
- hamobee
- arguments
- 생성자
- hashCode
- super
- Polymorphism
- value
- concreteclass
- reference
- Eureka
- garbagecollection
- string
- Today
- Total
뇌운동일지
spring 프로젝트 설정 3가지 방법 본문
spring 프로젝트 설정 3가지 방법
1. 수동 셋팅 ( 가장 직관적 - 기존의 프로젝트 구성과 유사, XML기반 )
1) 이클립스 - help - market place - sts 검색 버전 3 선택 - 설치
2) 웹프로젝트 생성
3) 생성된 프로젝트를 configure to maven project로 전환
( maven은 라이브러리 자동 설치를 관리해주는 중요한 tool )
4) 생성된 프로젝트에 다시 한번 convert to aspectj 전환
( aspectj : spring 과 사용하면 xml 설정을 많이 줄일 수 있음 )
5) maven 을 적용하면 프로젝트에 pom.xml 이 생성됨
6) https://mvnrepository.com/에 가서 spring 라이브러리 검색 후 사용할 버전(5.0.x)을
maven 항목에서 복사하고 저장하면
선택 라이브러리와 의존성이 있는 관련 라이브러리를 모두 한꺼번에 설치하게 된다
주의) 특히 oracle 드라이버는 라이센스 문제로 다운로드가 힘들며,
외부 저장소를 하나 더 추가하여 다운로드한다.
------------------ pom.xml 에 추가한 라이브러리
----------------- 추가 저장소
2. 자동 셋팅 ( 레거시 방법 - 어노테이션 기반 )
3. 부트 방법 ( 기존 모습과 많이 다름, 응용프로그램 개발 시 적합 )
spring boot - New spring starter project를 선택 확인하면
부트 프로젝트가 생성
기본 패키지 명 com.example.demo
시작 파일
/demo/src/main/resources/static 정적문서가 있는 곳 html ....
/demo/src/main/resources/templates 템플릿 문서가 있는 곳 ( head, menu, body, bottom )
/demo/src/main/resources/application.properties 환경정보 매핑 ( 중요함 )
/demo/src/test/java 테스트용 문서를 생성함 ( Junit 문서 )
자동 생성되지 않는 웹 경로는 수동으로 만들어줘야 한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기본개념 (0) | 2020.06.09 |
---|---|
pom.xml 설정 (0) | 2020.06.08 |
AOP 예제 (0) | 2020.06.08 |
Spring Tool Suite 설치 (0) | 2020.06.08 |
Spring Framework (0) | 2020.06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