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overload
- Hashtable
- 생성자
- start()
- 콘크리트클래스
- fuction
- 객체형변환
- concreteclass
- value
- run()
- abstractclass
- Polymorphism
- hashCode
- garbagecollection
- arguments
- object
- ALTER
- string
- reference
- override
- methodArea
- Vector
- eclipse
- MSA
- class
- Eureka
- 추상클래스
- constantnumber
- hamobee
- super
Archives
- Today
- Total
뇌운동일지
[IntelliJ] scratch file 본문
java source 파일 수정 시, 변경할 때마다 tomcat을 재기동하며 테스트 해보기가 번거롭다.
따라서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class를 따로 생성하여, main 메소드를 작성하고, javac java 를 통해 실행해보는 방법을 사용했다.
그러나 IntelliJ 에서는 관련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다. 그것이 scratch
( 이와 관련하여 선배님이 알려주셨으나, 한번 듣고 바로 해볼 수가 없어서 따로 찾아보았다. 못하면 나중에 구박구박 왕구박을 들을까봐 내 뇌를 아카이브 해둔다. )
File -> New -> Scratch File
그리고 언어를 선택해준다.
참고자료
'오리너구리의 오리발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생존 IntelliJ] 단축키 (0) | 2021.04.26 |
---|---|
[생존 엑셀] 시트 생성, 시트 이름 변경, Hyperlink (0) | 2021.03.19 |
[명품 C++ 프로그래밍] 2. 프로그래밍의 기본 (0) | 2021.03.16 |
자주 사용하는 mvn dependency 저장 (0) | 2020.08.03 |
springboot + thymeleaf + jpa (0) | 2020.07.31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