뇌운동일지

JSP기초지식2 본문

JSP

JSP기초지식2

purpleduck 2020. 4. 21. 12:52

동적인 데이터를 표현하는 페이지 - 동적페이지 

ex) 게시판 

 

CGI - 자원을 많이 사용해서 사장됨

 

Servlet : java

JSP가 디자인 표현에 적합

 

웹브라우저가 해석하는 언어가 클라이언트 스크립트 

 

동적인 부분을 jsp로 만든다

 

 

이클립스의 서버환경과 톰캣의 서버환경은 별개

 

 

 

웹 어플리케이션 배포하기 ========================

1. 이클립스에서 웹 프로젝트를 war파일로 내보낸다. 

2. 이클립스 server 밑에 server.xml을 복사한 후, 톰캣 아래 conf에 덮어쓴다. 

3. 톰캣을 구동한다.

 

super class method 중 필요한 것만 overriding

 

JSP 코딩 영역 

// <%@ 지시부 %> 문서 최상단에 붙는다. 

<%! 선언부 %> 변수(전역변수), 함수 

// JSP 함수를 잘 만들지 않고, JAVA파일을 import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. 잘 쓰이지 않음 

<% 스크립릿 %> 코딩, 처리식 ... 함수는 호출만 가능, 변수(지역변수)

// 출력이 필요할때는 out.println()

<%= 출력부 %> 문자열, 변수값, 함수리턴값 ... 

// ;가 없음. 한줄만 가능 

<%-- JSP주석 --%> 웹서버가 주석으로 처리

// <!-- HTML주석 --> 웹 브라우저가 주석으로 처리 

-> 주석으로 처리되는 지점이 다르다. 중요한 주석은 JSP주석을 사용할 것. 

 

 

내장객체 - 이미 만들어진 객체 readymade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           Servlet --> class --> 실행 

Jsp --> Servlet화 --> class --> 실행 

Jsp로 만들면 자동으로 Servlet으로 변환되서 실행된다. 

 

out.println() : 프로그래머 방식 servlet

<%%>안에 코드 : 디자인 방식 jsp

 

'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JSP session  (0) 2020.04.24
JSP 내부 객체  (0) 2020.04.23
JSP태그  (0) 2020.04.23
JSP 기초문법  (0) 2020.04.22
JSP기초지식  (0) 2020.04.20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