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Hashtable
- ALTER
- abstractclass
- MSA
- hamobee
- Eureka
- garbagecollection
- super
- hashCode
- arguments
- methodArea
- 추상클래스
- Vector
- constantnumber
- run()
- string
- class
- override
- fuction
- value
- Polymorphism
- 콘크리트클래스
- reference
- overload
- object
- 객체형변환
- eclipse
- 생성자
- concreteclass
- start()
- Today
- Total
뇌운동일지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_200613기출정리 본문
1과목 : 리눅스 운영 및 관리
fdisk 명령으로 파티션 속성 변경 시 사용하는 값 조합
Linux : 83
Swap : 82
LVM : 8e
Raid : fd
fdisk
새로운 파티션 생성, 기존 파티션 삭제, 파티션 타입 결정 등의 작업 수행 가능
하나의 볼륨에 일반 파티션 및 LVM 파티션 함께 사용 시, fdisk 통한 파티션 구성 진행
Swap 파일 시스템 : 리눅스 가상 메모리 사용을 위한 파일 시스템
fdisk option 82로 변경 후 저장
LVM
8e : LVM 타입으로 변경
리눅스 설치 시 또는 하드웨어 추가 시 파티션 나누고 공간 할당
이 때 한번 설정한 공간 고정되어 변경 또는 추가 불가
Logical Volume Manager
파티션을 원하는대로 추가하거나 제거하고 그 크기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
디렉터리에 부여되는 w권한 : 해당 디렉터리에 파일 생성 또는 삭제 가능
파일에 부여되는 w권한 : 해당 디렉터리에 생성되는 파일을 수정 가능
이전 허가권) -rwxrwxrwx
chmod o=r lin.txt // other에 r(읽기) 권한만 부여하겠다는 명령어
lin.txt 파일 허가권 값 ) -rwxrwxr--
셀에서 선언된 셀 변수 전부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 :set
env : 글로벌 환경변수 조회 명령어
set : 로컬 환경변수 조회 명령어 + 쉘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옵션 기능
시스템 계정에 설정되는 셸 : /sbin/nologin
/bin : 기본적인 명령어
/sbin : 시스템 관리를 위한 명령어
$USER : 유저 이름 출력
top 명령은 실행 상태에서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여 프로세스 상태를 출력하거나 제어
k : PID값을 입력하여 종료신호 보냄
t : 프로세스와 CPU항목을 on/off
m : 메모리 관련 항목 on/off
W : 바꾼 설정 저장
Shift + p : CPU 사용률 내림차순
cron :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작업만 등록하여 사용가능
vi명령
/etc/hosts 파일을 열면서 ihd 라는 문자열이 있는 위치에 커서를 둔다
vi +/ihd /etc/hosts
vi편집기의 환경 설정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파일
.exrc
vi편집기의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
1) .exrc 파일로 저장 // 자동으로 실행됨
2) 셸의 환경변수 EXINIT 지정
환경 설정과 관련된 옵션 정보 확인
# ./configure --help
/bin/ls 파일 설치한 패키지 이름 알아볼 때
# rpm -qf /bin/ls
# rpm -q // 패키지 설치 여부 확인
# rpm -F // -f 와 같지만 파일 이름을 표준 입력에서 읽음
설치한 패키지 이름 : rpm -qf 또는 rpm -qF
configure 작업으로 생성되는 파일명
Makefile
vsftpd 패키지 의존성 무시하고 제거
# rpm -e --nodeps vsftpd
rpm --erase -e
yum --remove -r
rpm, yum 모두 레드햇 계열
telnet-server 패키지 삭제
# yum remove telnet-server
GUI 기반 스캐너 도구 : xcam
2과목 : 리눅스 활용
x윈도 : X 컨소시엄에 의해 X11 버전이 처음으로 개정되어 X11R2 발표
리눅스 부팅 시 X윈도를 실행하기 위해 부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파일 : /etc/inittab
1984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사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공유하여 상대방의 파일 시스템 일부를 마치 로컬시스템의 디렉터리인 것처렁 사용할수 있게 해줌
-> NFS
메일 서버간 메시지 교환 시 사용되는 프로토콜
SMTP
POP3 : 메일서버에서 메시지를 컴퓨터로 받아올 때 사용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
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
운영 중인 서버의 특정 포트에 접속하여 연결된(ESTABLISHED)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 조합
ss, netstat
다른 계정으로 접근
# ssh -l kait www.ihd.or.kr
-p port : 서버에 접속할 포트 지정
-ㅣ login_name : 서버에 로그인할 사용자(login_name) 지정
표현 계층
데이터의 암호화와 해독 수행
효율적인 전송을 위해 필요에 따라 압축과 압축해제 진행
코드와 문자를 번역하여 일관되게 전송 데이터를 서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함
세션 계층
데이터의 전송 순서 밎 동기점의 위치 제공
메시지에 대한 오류 보고와 이에 대한 피드백을 원래 호스트에 보고하는 역할 수행 -> ICMP
웹서비스에 사용되는 포트번호 : 80 (http프로토콜의 포트번호)
도시권 통신망인 MAN과 관련된 프로토콜 : DQDB
커널이 수정된 게스트 운영체제를 통해 물리적 서버 대비하여 최대 98%의 성능을 나타낸다는 CPU 반가상화 지원 : Xen
'오리너구리의 오리발질 > 리눅스마스터 2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마스터2급 2차_171202 오답정리 (0) | 2021.03.11 |
---|---|
리눅스 마스터 2급 개념정리 (0) | 2021.03.11 |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_191224기출오답 (0) | 2021.03.07 |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_201010기출오답정리 (0) | 2021.03.07 |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개념정리_리눅스 활용 (0) | 2021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