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garbagecollection
- override
- Hashtable
- 콘크리트클래스
- class
- hashCode
- ALTER
- start()
- hamobee
- constantnumber
- MSA
- Eureka
- fuction
- Vector
- object
- run()
- methodArea
- overload
- string
- eclipse
- reference
- 추상클래스
- value
- 생성자
- abstractclass
- Polymorphism
- super
- arguments
- 객체형변환
- concreteclass
- Today
- Total
뇌운동일지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_201010기출오답정리 본문
1과목 : 리눅스 운영 및 관리
chown 명령어 사용하여 소유권 변경 시 참조 파일
/etc/passwd
passwd : 계정관련
shadow : 패스워드관련
특수권한 설정 파일
/bin/su
/bin/mount
/usr/bin/passwd
/dev/null : 장치 디바이스로 인식됨
ls -al 등으로 확인 시, crw-rw-rw- 로 표시됨
각 사용자의 디스크 사용량 제한하려 할 때, 디스크 쿼터 설정 명령어 순서
quotacheck -> edquota -> quotaon -> repquota
quotacheck
마운트 옵션에 quota 관련 속성 부여되어있는 파일 시스템 찾아서 쿼타 설정 위해 필요한 쿼타파일 생성
edquota
사용자 및 그룹별 디스크 사용량 제한을 설정하거나 이미 설정 되어 있는 쿼타 편집 가능
quotaon
쿼타 가동
repquota
특정 파일 시스템 내의 각 사용자별 디스크 사용량에 대한 내용 확인
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유형 : ext, vfat, ntfs
ext : 리눅스 전용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
vfat : windowNT 가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중 FAT 를 확장한 것. 디스크 기반
ntfs :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기반 파일 시스템
smb :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
특정 사용자의 로그인 시 부여되는 셸 정보를 확인하려고 할 때 파일명
/etc/passwd
/etc/shells : 쉘이 어떤 것이었는지 정보
/etc/passwd : 로그인 시 정보
/etc/shadow : 비밀번호
/etc/login.defs : 사용자 계정의 설정과 관련된 기본 값 정의한 파일
시그널
SIGINT : 2
SIGQUIT : 3
SIGCONT : 18
SIGSTP : 20
시그널 확인 명령어 : kill -l
시그널 : 리눅스에서 프로세스끼리 서로 통신할 때 사용
편집기
윈도우에서 리눅스로 전환한 초보자로서 터미널 환경에는 익숙하지 않고, X윈도는 사용가능
gedit
X윈도 시스템에 맞춰 개발됨
텔넷 접속 시나 텍스트 기반 콘솔창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
UTF-8과 호환. 코드, 마크업 언어와 같은 구조화된 텍스트 문서를 편집하는 용도에 중점을 둠
원격지에서 vi편집기를 이용하여 lin.txt 파일을 편집 중, 네트워크 단절로 중단. 작업중이던 파일 내용을 불러오려고 할 때 명령어
# vi -r lin.txt
vi + 파일명 : 파일을 열 때 커서가 파일 본문의 마지막 행에 위치
vi -R 파일명 : 파일을 읽기 모드로 연다
vi +n 파일명 : 파일을 열어 n행에 취치
vi -r(recovery)
vi -R(Read)
pico 편집기에서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의 처음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키 조합(key stroke) : ctrl + a
emacs 개발한 사람 : 리처드 스톨만
빌 조이 : vi 편집기 개발자
리누스 토발즈 : 리눅스 창시자
vi 편집기 실행 후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키 : a, i, o
프로그램 설치 방법
아파치 웹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디렉터리를 /usr/local/httpd2 로 지정해서 운영하려고 할 때
-> 소스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디렉터리를 지정한 후에 설치
압축 파일 해제 과정
# gzip -d ihd.tar.gz
파일 압축 명령어 gzip / 압축 파일명 .gz
gzip -d 파일명 : 파일 압축을 해제
gzip -l 파일명 : 압축된 파일 정보 표시
gzip -v 파일명 : 압축 과정 표시
2과목 : 리눅스 활용
X 윈도 시스템 상에서 작동하는 디스플레이 매니저
KDM, GDM, XDM, dtlogin
LXDE : X윈도 데스크탑 환경
ssh 관련 명령 : scp, sftp, slogin
서비스
한 대의 리눅스 시스템에 파일 공유를 위한 디렉터리를 생성하고, 나머지 리눅스 시스템 사용자들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구축
-> NFS
리눅스와 리눅스 파일 공유 : NFS
리눅스와 윈도우 파일 공유 : SAMBA
FTP 프로토콜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 확인할 때 사용하는 파일명
/etc/services
IP 주소 및 도메인을 관리하는 국제관리 기구 : ICANN
ICANN : the 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
인터넷 도메인 관리와 정책을 결정하는 비영리 국제관리 기구
EIA :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
전자 공업 연맹
ITU :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
국제 전기 통신 연합
IEEE :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
전기 전자 학회
파일
시스템 점검을 위해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차단하려고 함
/etc/sysconfig/network
network : 해당 시스템의 네트워크 사용여부와 hostname을 저장하고 있는 파일
'오리너구리의 오리발질 > 리눅스마스터 2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마스터2급 2차_171202 오답정리 (0) | 2021.03.11 |
---|---|
리눅스 마스터 2급 개념정리 (0) | 2021.03.11 |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_191224기출오답 (0) | 2021.03.07 |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_200613기출정리 (0) | 2021.03.07 |
리눅스 마스터 2급 2차 개념정리_리눅스 활용 (0) | 2021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