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run()
- string
- 추상클래스
- concreteclass
- 생성자
- Vector
- fuction
- override
- abstractclass
- MSA
- class
- reference
- constantnumber
- eclipse
- garbagecollection
- Polymorphism
- object
- 콘크리트클래스
- overload
- ALTER
- Eureka
- super
- arguments
- 객체형변환
- hamobee
- Hashtable
- hashCode
- value
- start()
- methodArea
- Today
- Total
뇌운동일지
Vue.js + express 에서 알림서비스 : email, slack, kakaotalk 본문
1. email
Node.js nodemailer module 활용
https://victorydntmd.tistory.com/113
구글 계정 2단계 인증 -> 앱 비밀번호로 로그인 : 낮은 단계의 엑세스 허용은 막혔다고 함.
Error: No recipients defined
at SMTPConnection._formatError
-> button click 시, back 에서 처리하는 단계까지 확인 완료.
front 에서 받은 입력값 활용하는 부분 구현 못함. -> post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후 binding 해주는 부분 처리 필요
-> SMTP 서버 인증에 대한 부분 찾아볼 것 (구글 SMTP 서버 설정)
현재 세션이 같아서 SMTP인증없이도 가능하다고 한다.
nodemailer 공식문서 찾아보는게 가장 나음.
Gmail 이용한 SMTP 발송
https://docs.3rdeyesys.com/99.etc/etc_smt_auth_to_google_gmail_account/
2. slack
구글 계정으로 가입함.
"@slack/web-api": "^5.11.0",
참고예제)
slack-node (오류발생함)
https://surprisecomputer.tistory.com/49
{ ok: false, error: 'invalid_auth' }
요청은 갔음. invalid_auth 의 의미를 알아보았다.
-> 업데이트로 인해 2021.02.24일 이후 생성된 bot은 slacker 라이브러리 이용 불가.
이유가 뭘까?
1. token 자체가 잘못되었다.
2. 권한이 충분하지 않다.
-> 둘 다 아니었고, slack-node가 업데이트 된 것 지원을 안하나봄. 응답이 오긴 오길래 코드에는 문제가 없는 줄 알았다.
slack api 공식문서에서 시키는대로 해보면 됨.
chat.postMessage
https://api.slack.com/methods/chat.postMessage
slack api 의 authentication 부분을 읽어보기로 함.
윈도우에서 리눅스 명령어를 어떻게 쓸까 고민했다. -> WSL 을 써보기로 결정했다.
Microsoft Store 에서 Ubuntu 다운받음.
Invoke-Request 명령이 안됨. -> 일단 보류
3. kakaotalk
카카오톡 알림톡 API
비즈엠 계정 생각이 안나버림.
카카오 알림톡 - 공식 딜러사를 통해 보낼 수 있다.
비즈메시지 - 알림톡
https://cs.kakao.com/helps?articleId=1073194762&service=159&category=503&device=1871&locale=ko
kakao developers 에서 카카오톡 채널 JS SDK 참고
https://developers.kakao.com/docs/latest/ko/kakaotalk-channel/common
https://developers.kakao.com/tool/demo/message/kakaolink
카카오 API 이용하는 법 참고
https://blog.daum.net/geoscience/1624
https://blog.daum.net/geoscience/1636
TODO) token 이나 key 값 .env 에 저장하고 읽어올 것
프로젝트 내 readme 만들어서 관련 reference 모을 것
'purple duck 일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asticsearch CRUD (0) | 2021.10.15 |
---|---|
Elastic Search : docker에 elasticsearch 설치, logstash 실행하려 했으나 해결하지 못한 과정 (0) | 2021.10.12 |
Vue.js + express 탐구생활 (0) | 2021.10.06 |
dashboard 만들기 (0) | 2021.10.05 |
git repository 내의 특정 폴더만 pull 하고 싶을 때 (0) | 2021.10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