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콘크리트클래스
- ALTER
- value
- start()
- hashCode
- concreteclass
- constantnumber
- object
- super
- reference
- Eureka
- hamobee
- arguments
- garbagecollection
- class
- eclipse
- 추상클래스
- methodArea
- run()
- Hashtable
- override
- 객체형변환
- fuction
- string
- 생성자
- Vector
- overload
- abstractclass
- Polymorphism
- MSA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59)
뇌운동일지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JgNYd/btqC0KHwnoj/TksmkkFD8yOO35WOXQQ38K/img.jpg)
java.io.* java.net.* DNS : 이름과 IP를 서로 mapping 해주는 system IP : 32bits 주소 8bit, 8, 8, 8 (0~255) => ipconfig /all port : 서버에 설치되어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번호 0~65xxx => netstat -an subnet subnetmask gateway 기억하면 좋은 포트번호 * 보통 2000번 미만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것이 많으므로 유저가 만든 프로그램은 높은 번호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FTP - 21 MAIL - 25 WEB - 80 APACHE TOMCAT - 8080 ORACLE - 1521 MYSQL - 3306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BfBM/btqC3rlBmeN/PSQiAILbGvL72h1tIs96Zk/img.png)
1. for (int i = 0; i =1 true. j>i true, ☆출력. j = 4, j>=1 true. j>i false, ★출력. j = 3, j>=1 true. j>i false, ★출력. j = 2, 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Ahn7/btqCX73CQp4/ij9jPcTTMATPVCE45pTpe1/img.jpg)
DNS : Domain Name System IP와 domian을 서로 mapping 해줌 port : 컴퓨터에 외부신호가 들어올때 호출되는 프로그램 식별번호 ( 0~65535 ) netstat -an 외부와 통신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포트 번호가 있다 IP : 주소, IPv4, 32bits, 2^8 ipconfig /all IP를 못외우니까 DNS를 쓴다 SM : SubNetMask IP = 네트워크 주소 + 호스트 주소 넷과 호스트의 비율을 조절 ex) 255.255.255.0 255로 가려진 부분은 네트워크 주소, 0있는 부분은 호스트 주소 0과 255부분은 빠져서 실제 가용주소는 252개 0은 네트워크 255는 브로드케스트 하나는 브로드웨이 GW : gate way 라우터의 포트번호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5fpj/btqCU7XdACN/KQeOG2JVpXGWKghRrS0Vck/img.jpg)
Hashtable - 객체를 저장 - 순서가 없다 - 복사하면 casting - 캐스팅하지 않으려면 generic 이용 - put(k,v) - get(k) - 찾는 key가 없으면 null Properties - hashtable을 상속받음 - key, value 모두 문자열 - 속성값을 저장시 많이 사용 hash 빠르게 찾는 hash algorithm : 나머지를 이용 Hashtable : thread safe 지원 HashMap : thread safe 지원하지 않음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oiI3l/btqCYGDLVOU/Wi0wS2CrnqfuUxMVWz645k/img.jpg)
Vector - 배열을 개선한 클래스 - 크기가 동적이다 - 객체만 입력가능 ( 기본형은 elements(요소)로 사용할 수 없다. ) - 서로 다른 인스턴스 저장가능 - 요소를 밖으로 복사하면 캐스팅 - 캐스팅하기 싫다면, Generic Vector v = new Vector(); Vector e = new Vector (); - 요소를 꺼내면 채워진다 - 순서가 있다 Vector : ThreadSafe지원 ArrayList : ThreadSafe를 지원하지 않으나, 메모리를 적게 사용 -> ArrayList 사용권장 Vector의 method v.addElement(element); Vector v에 element를 추가 v.contains(element) v가 element를 포함하면 True, e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