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hashCode
- constantnumber
- concreteclass
- Polymorphism
- eclipse
- arguments
- 콘크리트클래스
- MSA
- 객체형변환
- garbagecollection
- abstractclass
- class
- string
- fuction
- Vector
- reference
- ALTER
- run()
- hamobee
- super
- 추상클래스
- override
- methodArea
- Eureka
- object
- overload
- value
- Hashtable
- 생성자
- start()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59)
뇌운동일지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Tkgb4/btqEo8loXo6/15bGZSwkK21MqwsyI0z8G0/img.png)
제약조건 : 원하지 않는 내용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 table 수준의 제약조건 column 수준의 제약조건 SQL은 ; 를 만나기 전까지 실행되지 않음 CLI : command line interface ERD : ER 다이어그램 (Entity Relation Diagram) 논리적 분석도 두 테이블 간에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 일단은 다대다 관계 데이터베이스 분석 설계 명세도를 보고 ERD(논리적)를 작성한 후, ERD(물리적) 작성한 후 소스코드를 생성하시오. Tools > Forward Engineer/Schema Generation
설치 후 로그인 하기 1) 설치된 앱 항목중 sqlplus창을 클릭하여 창이 열리면 아래처럼 사용자명 입력: system sqlplus system/oracle 2) 계정과 암호를 생성 SQL> create user javauser identified by "1234"; 3) 생성된 계정에 권한(role 권한) 부여 SQL> grant connect, resource to javauser; 4) 생성된 계정으로 전환해본다 SQL> conn javauser/1234; 연결되었습니다. SQL> show user; USER은 "JAVAUSER"입니다 SQL> 참고사항 1) 단순 공부용일때는 서비스관리자의 시작모드를 수동으로 나눈다 2) 노트북에서 사용하고자 할때는 oracleXE버전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..
경로 가상이름은 document같은데서는 사용하지만, servlet에는 영향이 없다 WebContent가 root위치 가상이름이 들어가는 경우 -> server.xml 에서 넣었기 때문에 모든 웹문서들이 영향을 받게 됨. 그런데, servlet은 WebContent 밑에 있는 것이 아니라 src밑에 있으므로 가상이름의 영향을 받지 않음. WebContent밑에 있는 웹문서들은 가상이름의 영향을 받음.
기본키 : 행을 구별, 유일성(unique), not null column(열)==attribute(속성) row==record 하나하나의 data는 domain 도메인 -> 컬럼(속성) -> 레코드 -> 테이블(엔티티) -> 데이터베이스 table == entity record set : record를 여러개 묶은 것 DB를 관리하는 tool -> DBMS 데이터베이스를 개발/설계 ~~ RDBMS 모아놓고 -> 분석 : batch분석 데이터웨어하우스 분석 -> SQL DML (insert, ~~ ) DDL (alter, ~~ ) DQL (select, ~~ ) big data : 실시간 분석 ( real time ) 로그파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기본 원리 : 데이터의 중복을 피하기 중복 데이터..
=== 개발 시, mysql 드라이버의 위치 === 1) 응용 프로그램(main함수를 가지고 있는) 개발 시, C:\Java\jdk1.8.0_151\jre\lib\ext 또는 C:\Java\jre1.8.0_151\lib\ext 가 일반적 2) 웹프로그램 개발 시. 주로) /chapter09/WebContent/WEB-INF/lib 아래 둔다 주의) 서버 pool을 생성하는 경우는 웹서버가 연동풀을 제공하므로 (