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Vector
- reference
- overload
- methodArea
- arguments
- hashCode
- Eureka
- value
- MSA
- super
- Hashtable
- 추상클래스
- 객체형변환
- start()
- object
- 콘크리트클래스
- run()
- garbagecollection
- class
- constantnumber
- 생성자
- eclipse
- concreteclass
- ALTER
- hamobee
- string
- override
- Polymorphism
- fuction
- abstractclass
- Today
- Total
목록전체 글 (259)
뇌운동일지
상위요소 하위요소 { 스타일 정의 } /* 어딘가 밑에 있는 : 자식 손자 모두 해당 */ section ul li ul /* ul 두개 다 되는 것-> 상위요소의 모든 하위요소*/ A요소, B요소 { 스타일 정의 } 부모요소 > 자식요소 { 스타일 정의 } /* 바로 밑에 있는 : 손자는 해당안됨 */ section> /*손자는 해당되지 않고, 자식만 해당*/ 요소+요소 { } h1 + p { } /* hi와 p가 같이 있을 때, p에만 해당 : hi다음에 오는 첫번째 p에만 해당 */ p hi p 요소 ~ 요소 { } hi ~ p { } /* 모든 형제 : hi다음에 오는 모든 p*/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..
warning: LF will be replaced by CRLF in ~~~ 운영체제에 따라 개행문자가 다름 유닉스/리눅스 계열의 운영체제는 LF를 개행문자로 사용하고, 윈도우는 CRLF를 개행문자로 사용한다. 운영체제에서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문제이다. 나는 javascript로 작성한 코드를 add . 하려니 이런 warning이 나왔다. core.autocrlf 값을 true로 바꾸어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 git config core.autocrlf true
semantic tag / 의미가 통하는 * 태그만 보고도 페이지 구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태그 section은 여러개의 article로 나누어질 수 있다. 검색기들이 효율적으로 사이트를 검색한다.
margin 어떤 요소의 바깥쪽 width, height, border 필수요소 border를 기준으로 안쪽을 padding, 바깥쪽을 margin div 태그를 쓰면 중첩을 시킬 수 있다 padding 내용물과의 간격조절, 테두리 안쪽의 여백 element - 디자인이 올바른 위치에 있는지 source - javascript오류를 잡을 때 쓴다 CSS를 안쓰면 html 태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화면을 분할하는 내용 width:300px; box-sizing:content-box; /* 콘텐츠 영역이 300 */ box-sizing:border-box; /* 박스 전체 테두리의 가로가 300 */ contents padding border margin position : relative; /*요소가 겹..
1차로 홈페이지를 만들었다. 파비콘 추가 - PC에서는 가능, 모바일에서는 불가능( 사이즈별 파비콘을 넣는 것이 좋을지는 아직의문이기에 보류 ) -> 홈페이지를 내 깃허브 레퍼지토리에 넣었는데, 내 개인페이지까지 같은 파비콘이 적용됨. -> 모바일 구글 메인 페이지에는 나오지 않으나, 방문기록 아이콘에서는 표시됨. 반응형웹 사용시 띄어쓰기 기준 - 무시하기로 함